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Python

[파이썬 기초] 파이썬 리스트 함수 정리

by 아임코딩 2024. 1. 16.
728x90
반응형

소개

안녕하세요 아임코딩입니다.

이번에는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리스트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리스트 길이 len()

리스트의 전체 길이를 구하는 함수는 len() 함수가 있습니다.

리스트에 포함된 원소의 갯수를 반환해줍니다.

 

예시 코드를 통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li = [1, 2, 3, 4, 5]

l = len(li)

print(l)

 

li 라는 리스트를 작성한 후 len(li) 를 통해 리스트의 길이를 저장한 후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실행을 하면 리스트의 길이인 5가 변수 l 에 저장이 된 후 화면에 출력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소 추가하기 append()

리스트에 새로운 원소를 추가하는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append() 함수의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리스트.append(추가할 원소)

append() 함수를 이용하면 리스트에 새로운 원소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append() 함수를 이용하여 원소를 추가하면 리스트에 가장 뒤에서 부터 새로운 원소가 추가됩니다.

 

예시를 통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 = [1, 2, 3, 4, 5]

li.append(6)

print(li)

 

코드 실행 화면

 

코드 실행 화면을 보면 append() 함수를 실행한 후 li 리스트 변수는 [1, 2, 3, 4, 5] 에서 [1, 2, 3, 4, 5, 6] 으로 변경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요소 삽입하기 insert()

append() 함수를 통해 원소를 추가하면 리스트의 가장 뒤에 원소가 추가됩니다.

insert() 함수는 append() 함수와는 다르게 요소를 추가할 위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insert() 함수의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리스트.insert(인덱스, 요소)

 

해당 문법을 통해 요소를 리스트에 삽입하면 특정 인덱스에 원하는 요소를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시 코드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 = [1, 2, 3, 4, 5]

li.insert(2, 6) #인덱스 2에 6원소 추가

print(li)

 

코드 실행 화면

 

insert(2, 6) 을 실행하면 인덱스가 2인 자리에 원소 6을 추가합니다.

따라서 [1, 2, 3, 4, 5] 는 [1, 2, 6, 3, 4, 5] 가 됩니다.

 

 

값 기반 리스트 요소 제거 remove()

리스트에서 특정 값을 찾아서 제거하고 싶을 때에는 remove() 함수를 사용합니다.

remove() 함수는 리스트에서 특정 값을 찾아서 가장 처음에 나오는 값을 삭제합니다.

 

리스트.remove(삭제할 요소 값)

 

예시 코드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 = [1, 2, 3, 4, 5, 1, 2, 3]

li.remove(3) 

print(li)

 

코드 실행 화면

 

원래 있던 리스트 요소 [1, 2, 3, 4, 5, 1, 2, 3] 에서 3을 찾아 처음 나온 3이 삭제된 후 [1, 2, 4, 5, 1, 2, 3] 리스트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 요소 뒤에서 꺼내기 pop()

리스트에서 가장 뒤에 있는 요소를 꺼내고 싶을 때에는 pop()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op() 함수를 실행하면 리스트 맨 뒤에 있는 요소는 삭제되고 반환됩니다.

 

 

예시 코드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 = [1, 2, 3, 4, 5]

num = li.pop()

print("num : ", num)
print("li : ", li)

코드 실행 화면

 

li = [1, 2, 3, 4, 5] 에서 pop() 함수를 실행하면 가장 뒤에 있는 5라는 요소는 반환되어 num 에 저장이 됩니다.

 

 

인덱스 기반 리스트 요소 제거 del()

del() 함수를 이용하면 리스트에서 특정 인덱스에 저장된 값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del 리스트[인덱스]

 

예시 코드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 = [1, 2, 3, 4, 5]

del li[2] #인덱스 2에 저장된 값 제거

print("li : ", li)

 

코드 실행 화면

 

del li[2] 를 실행하면 인덱스 2에 저장된 값이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정 값 개수 세기 count()

리스트 안에 있는 특정 값의 개수는 count() 함수를 이용하면 셀 수 있습니다.

 

리스트.count(특정 값)

 

예시 코드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 = [1, 2, 3, 1, 2, 3, 1, 2]

cnt = li.count(1) #li 에서 1의 개수 세기

print("cnt : ", cnt)

코드 실행 화면

 

li 리스트에서 1의 개수는 3개여서 count(1) 을 실행하면 3이 반환되어 cnt에 저장된 후 출력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 정렬 오름차순 sort()

파이썬에서는 리스트를 정렬할 수 있는 sort() 함수를 제공합니다.

리스트에 sort() 함수를 실행하면 리스트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됩니다.

오름차순은 작은 숫자부터 큰 숫자 순서로 정렬되는 순서를 말합니다.

만약 영단어를 정렬한다면 a 부터 z 까지 사전 순으로 정렬이 됩니다.

 

예시 코드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um_li = [2, 1, 4, 5, 3]

al_li = ['banana', 'apple', 'corn']

num_li.sort() # num_li 오름차순 정렬

al_li.sort() # al_li 오름차순 정렬

print(num_li)
print(al_li)

 

코드 실행 화면

 

코드 실행 화면을 확인해보면 리스트가 잘 정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ort() 함수를 이용하면 리스트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 내림차순 정렬 sort(reverse=True)

sort() 함수는 오름차순으로 리스트를 정렬합니다.

내림차순으로 정렬을 하고싶다면 sort() 함수에서 reverse 값을 True 로 설정해주면 됩니다.

 

 

위의 sort() 함수 예제 코드에서 reverse = True 만 추가해보겠습니다.

num_li = [2, 1, 4, 5, 3]

al_li = ['banana', 'apple', 'corn']

num_li.sort(reverse = True) # num_li 오름차순 정렬

al_li.sort(reverse = True) # al_li 오름차순 정렬

print(num_li)
print(al_li)

 

코드 실행 화면

 

reverse = True 값을 설정하니 리스트가 내림차순으로 잘 정렬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 뒤집기 reverse()

리스트를 처음부터 끝까지 뒤집고 싶다면 reverse() 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

 

예시 코드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 = [1, 2, 3, 4, 5]

li.reverse()

print(li)

코드 실행 화면

 

처음 리스트는 [1, 2, 3, 4, 5] 였는데 reverse() 함수를 실행한 후 [5, 4, 3, 2, 1] 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리

리스트 원소 추가

append() - 뒤에 원소 추가

insert() - 원하는 인덱스에 원소 추가

 

리스트 원소 제거

pop() - 맨 뒤 원소 삭제

remove() - 특정 값 원소 삭제

del() - 특정 인덱스 값 삭제

 

리스트 정렬

sort() - 오름차순 정렬

sort(reverse = True) - 내림차순 정렬

 

리스트 길이 측정

len() 

 

리스트 뒤집기

reverse()

 

리스트 특정 값 세기

count()

728x90
반응형